| Through-hole | 
 
 | 
 
| FCCL 권장 자재 Spec. | 
 
 | 
 
| Drill | 
100㎛ : 1/30z 이하 권장 | 
 
| 150㎛ : 1/20z 이하 권장 | 
 
| Cu. Plating | 
Min. 7㎛ 이상 | 
 
 
 
|   | 
D/S | 
Multi-Layer | 
 
| A (최소직경) | 
100㎛ | 
200㎛ | 
 
| B (최소직경) | 
300㎛ | 
400㎛ | 
 
| C (최소직경) | 
50㎛ | 
60㎛ | 
 
  | 
  | 
 
  | 
 
  | 
 
 
| Type별 Pattern Spec. | 
 
 | 
 
| 구분 | 
회로폭(L) | 
회로간격(S) | 
공차(G) | 
 
| 단면 | 
1/3 Oz | 
40wm | 
40㎛ | 
15㎛ | 
 
| 1/2 Oz | 
50wm | 
50㎛ | 
15㎛ | 
 
| 1 Oz | 
60㎛ | 
60㎛ | 
15㎛ | 
 
| 양면 | 
1/3 Oz | 
50㎛ | 
50㎛ | 
15㎛ | 
 
| 1/2 Oz | 
60㎛ | 
60㎛ | 
15㎛ | 
 
| 1 Oz | 
70㎛ | 
70㎛ | 
15㎛ | 
 
| 다층 | 
1/3 Oz | 
60㎛ | 
60㎛ | 
20㎛ | 
 
| 1/2 Oz | 
80㎛ | 
80㎛ | 
20㎛ | 
 
| 1 Oz | 
100㎛ | 
100㎛ | 
20㎛ | 
 
  | 
  | 
 
  | 
 
  | 
 
 
| Teardrop | 
 
 | 
 
  | 
 
 | 
 
- Line과 Pad를 보강하여 단선 방지
 
- Teardrop은 Via-land의 약 1.5배가 적당하며, 단자 두께의 약 1.5배가 적당하다
 
  | 
 
  | 
 
  | 
 
 
| 절곡부 회로설계 | 
 
 | 
 
  | 
 
 | 
 
- 회로폭 감소부 또는 꺾이는 부분은 보강판 경계면을 Min. 500㎛이상 겹쳐 적응
 
  | 
 
  | 
 
  | 
 
 
| 회로보정 | 
 
 | 
 
- 에칭 작업 시 생성되는 회로폭은 등박의 두께만큼 감소 되므로 100㎛의 회로폭을 만족하기 위해서는, 
사용되는 자재의 동박 두께만큼 회로폭을 더하여 회로를 설계하여야, 원하는 회로폭을 얻을 수 있다.
 
- 업체 제품 특성 및 제품 Type에 따라 보정치는 다르게 적응 될 수 있으며, 회로 공차등에 따라서도
차등 적용함.
 
  | 
  | 
 
  | 
 
  | 
 
  | 
 
 
| 외형과 Pattern의 간격 | 
 
 | 
 
- 회로 및 GND등 제품 내부의 동박은 외형에서 0.2mm이상 이격시켜 형성되어야 함.
 
- 외형 Cutting시 등박이 노출되거나 회로가 인접한 경우 회로폭 감소 및 Short불량을 
발생 시킬
 
수 있다. 
  | 
  | 
 
  | 
 
  | 
 
  | 
 
 
| 기구홀과 Pattern의 간격 | 
 
 | 
 
| 구분 | 
공차 | 
 
| Hole과 Pattern의 거리 | 
200㎛ | 
 
| Hole과 Dummy Pattern의 거리 | 
200㎛ | 
 
  | 
  | 
 
  | 
 
  | 
 
  | 
 
 
| CNT 부 회로공차 | 
 
 | 
 
| 구분 | 
공차 | 
 
| A (회로대비 치우침) | 
±50㎛ | 
 
| B (회로간격) | 
±30㎛ | 
 
| C (회로간격누적) | 
±50㎛ | 
 
| D (CNT부 폭 공차) | 
±100㎛ | 
 
  | 
  | 
 
  | 
 
  | 
 
  | 
 
 
| 회로대비 치우침 공차 | 
 
 | 
 
| 구분 | 
Cover-Lay | 
Solder Resist | 
 
| UV Ink | 
P.S.R | 
 
| 일반공차 | 
±200㎛ | 
±200㎛ | 
±100㎛ | 
 
| 특수사양 | 
±100㎛ | 
±200㎛ | 
±50㎛ | 
 
  | 
 
  | 
 
  | 
 
  | 
 
 
| Stiffner 설계 | 
 
 | 
 
  | 
 
 | 
 
- Stiffner 영역은 Top면 Cover-Lay 영역보다, Min. 0.5mm 확장 설계하여 꺾임 및 단자 Crack을 방지함
 
  | 
 
  | 
 
  | 
 
 
| Stiffner 부 기구홀 설계 | 
 
 | 
 
| 구분 | 
크기 및 거리 | 
 
| A (Hole Size) | 
Ø > 보강판 두께 | 
 
| B (Outline 과의 거리) | 
B > 보강판 두께 
(Crack 및 백화현상 방지) | 
 
  | 
  | 
 
  | 
 
 | 
 
- Stiffner 영역은 Top면 Cover-Lay 영역보다, Min. 0.5mm 확장 설계하여 꺾임 및 단자 Crack을 방지함
 
  | 
 
  | 
 
  | 
 
 
| Double Tape 부착 | 
 
 | 
 
 | 
 
 | 
 
- Double Type의 부착은 외형라인 바깥으로 형성하여 외형가공 시 Cutting 하여야 라인의 마무리가 정확함.
 
  | 
 
  | 
 
  | 
 
 
| Stiffner 및 D/T 치우침 공차 | 
 
 | 
 
| 구분 | 
Double Tape | 
Stiffner | 
 
| 일반 | 
특수사양 | 
 
| 허용공차 | 
±100㎛ | 
±200㎛ | 
±100㎛ | 
 
  | 
 
  | 
 
 | 
 
- Stiffner 및 Tape 부착은 수작업, 또는 JIG를 사용하여 ±200㎛으로 관리하며, 특수사양의 경우 설비를 사용하여 보다 정교한 공차로 작업 할 수 있음.
 
  | 
 
  | 
 
  | 
 
 
| Silk부 설계 | 
 
 | 
 
 | 
 
 | 
 
- Marking 인쇄의 공차는 ±200㎛으로 관리하며, 회로 또는 Cover-Lay경계면과의 이격 거리를 유지하여야 함.
 
  | 
 
  | 
 
  | 
 
 
| Stiffner 및 D/T 치우침 공차 | 
 
 | 
 
| 구분 | 
Double Tape | 
설계 | 
 
| 금형 최소 R 값 | 
  | 
-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와이어는 0.25Ø 홀 R.02로 가공
 
- 최소  R0.1 까지 구현 가능하나 와이어 수입으로 일정 및 가격 상승
 
  | 
 
| 기구홀 Size | 
  | 
- 기구홀의 경우 통상 Min. 0.5Ø 까지 가능 (부자재 없는 일반 사양)
 
- 제품 두께의 0.1T 증가시 홀 치수 0.1Ø 확대하여 진행
 
  | 
 
| C/L 최소 이격거리 | 
  | 
- C/L 최소 간격은 0.2mm 이며, 이하 Spec 진행 시 Open오로 진행 가능
 
- 이하 Spec 진행 시 금형 스크랩 도피부 금형 파손 발생
 
  | 
 
| 'U'자 홈 Spec. | 
  | 
- 'U'자 홈의 경우 Min. 0.5mm 까지 가능
 
- Burr 및 제품 형상을 원활하게 진행하기 위해선 1차 Piercing으로 진행
 
  | 
 
  | 
 
  | 
 
  | 
 
|   | 
 
 
 
 |